IT관련 정보

디도스(DDoS) 공격의 모든 것: 롤(LCK) 사례로 보는 위험성과 예방법

각정보 2025. 2. 27. 15:36
728x90

디도스컴퓨터
디도스에 공격당한 컴퓨터 형상화


콜센터가 폭주하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디도스(DDoS) 공격을 이해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콜센터에 전화가 폭주하는 상황"을 상상하는 것입니다. 수백 대의 전화가 동시에 걸려오면 상담원들은 정상적인 업무를 할 수 없죠. 디도스 공격도 마찬가지입니다. 특정 서버나 네트워크에 수많은 접속 요청을 집중시켜 서비스를 마비시키는 사이버 공격이죠. 최근에는 게임, 금융, 언론사 등 다양한 분야가 표적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리그오브레전드(롤)의 LCK 경기 중단 사례는 많은 이슈를 낳았는데요, 이 글에선 실제 사례를 통해 디도스의 위험성과 예방법을 깊이 있게 다뤄보겠습니다.


디도스설명
디도스 공격 원리

1. 디도스 뜻: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의 핵심

디도스는 Distributed Denial of Service의 약자로, 말 그대로 "분산된 방식으로 서비스를 마비시키는 공격"입니다. 공격자는 전 세계에 퍼진 감염된 기기(좀비 PC)를 원격 조종해 특정 서버에 트래픽을 집중시킵니다. 이때 사용되는 감염 기기 네트워크를 봇넷(Botnet)이라 부르죠. 예를 들어, 10만 대의 스마트폰이 동시에 한 웹사이트에 접속한다면? 서버는 순식간에 과부하로 다운됩니다.


2. 디도스 공격 유형: 트래픽 폭탄부터 애플리케이션 타깃까지

디도스 공격은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각 유형의 특징과 사례를 알아보세요.

🔵 볼륨 기반 공격: 트래픽 폭탄 투하

  • 방식: 초당 수십 기가바이트(Gbps)의 데이터를 서버에 쏟아붓습니다.
  • 사례: 2013년 한국 주요 은행·포털 사이트가 동시 다운됐던 사건. 공격자들은 봇넷을 동원해 서버 대역폭을 초과시켰습니다.

🔵 프로토콜 공격: 연결 요청만 무한 반복

  • 방식: 서버의 통신 규약(프로토콜) 취약점을 노립니다. 예를 들어, 연결 요청만 보내고 응답하지 않아 서버 자원을 고갈시킵니다.
  • 사례: 2016년 미국 DNS 서비스 업체 다이내스트리(Dyn) 공격. 인터넷 대부분이 마비되는 초대형 사태로 이어졌죠.

🔵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공격: 웹사이트를 무한 새로고침

  • 방식: 특정 웹페이지(예: 로그인 화면)에 반복적 요청을 보내 서버를 마비시킵니다.
  • 사례: 2020년 LCK(리그오브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경기 중단 사건. 공격자들이 경기 서버에 수백만 건의 요청을 보내 경기를 강제 중단시켰습니다.

디도스문제
게임이 중단된 상황

3. 리그오브레전드(롤) 사례: 게이머들을 분노케 한 디도스 공격

2020년 LCK 스프링 스플릿 기간, T1과 젠지의 경기가 예정된 날, 서버가 갑자기 다운되었습니다. 원인은 디도스 공격. 공격자들은 경기 서버에 집중적으로 트래픽을 유발해 선수들의 핑(Ping)을 급상승시켰고, 경기는 1시간 넘게 중단되었죠. 이 사건은 단순한 게임 장애를 넘어 e스포츠 산업의 취약성을 드러냈습니다. 팬들은 SNS에서 "경기 보는 재미가 뚝 떨어졌다"며 분노를 표출했고, 롤 개발사 라이엇 게임즈는 긴급 보안 패치를 발표해야 했습니다.


4. 디도스 공격의 숨은 목적: 금전 갈취부터 경쟁사 방해까지

공격자들은 왜 이런 위험한 공격을 할까요? 그 이유는 다양합니다.

  • 💰 금전적 이득: 서비스 마비 후 복구 대가로 비트코인을 요구하는 랜섬웨어식 공격.
  • 🎯 경쟁사 방해: 온라인 쇼핑몰이 특정 할인 기간에 디도스를 당해 매출이 급감한 사례도 있습니다.
  • ⚖️ 정치적 목적: 정부 기관 사이트를 마비시켜 사회적 혼란을 조장하는 경우.

5. 디도스 막는 법: 기업과 개인이 할 수 있는 것들

완벽한 방어는 어렵지만,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들이 있습니다.

바이러스노트북
백신 검사

🔒 기업을 위한 전략

  • 클라우드 방어 서비스 활용: AWS Shield, Cloudflare는 공격 트래픽을 자동 필터링합니다.
  • 트래픽 분산(로드 밸런싱): 여러 서버에 부하를 나누어 특정 서버만 마비되는 걸 방지합니다.
  • 실시간 모니터링: 비정상적인 트래픽 증가 시 즉시 대응할 수 있게 시스템을 구축하세요.

🔒 개인이 할 수 있는 예방법

  • 의심스러운 링크·첨부파일 절대 클릭하지 않기: 봇넷에 감염될 수 있습니다.
  • 정기적인 백신 검사: 맬웨어가 숨어있을 수 있는 PC, 스마트폰을 주기적으로 점검하세요.
  • 공용 Wi-Fi 사용 자제: 해커들이 공용 네트워크를 통해 기기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마치며: 안전한 디지털 세상을 위한 경각심

디도스 공격은 기술 발전과 함께 더 교묘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IoT 기기 증가로 봇넷 규모가 커지면서 피해 규모도 걷잡을 수 없이 확대되고 있죠. LCK 경기 중단 사례처럼 일상의 편의를 해치는 공격은 앞으로도 반복될 것입니다. 기업은 물론 개인도 보안 의식을 높여야 하는 이유입니다. 작은 실천이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우리의 디지털 생활을 지킬 수 있습니다.
 
"서버 다운은 한순간, 복구에는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지금 바로 보안 점검을 시작해보세요."
 
감사합니다.

반응형